SERVER HEALTH CHECK: OK
2
블루레이‧DVD
ID/PW 찾기 회원가입

[시사정치]  예송논쟁이 단순히 쓸데없는 허례허식, 병림픽의 대명사로 많이 쓰이는데...

 
7
  2756
Updated at 2020-05-23 23:52:47

예송논쟁은 그렇게 취급되긴 좀 억울한 면이 있죠. 상복 문제는 표면적 수단에 불과했을 뿐 실상은 왕권 vs 신권의 문제였고, 더 나아가 국왕의 정통성 문제와 직결된 문제였습니다. 당시 임금이던 현종의 아버지는 효종이었고, 효종이 바로 본래 인조 다음의 왕위계승자였던 소현세자가 죽어 옹립된 봉림대군이었죠. 효종은 생전에도 끊임없이 정통성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아들인 현종도 예외는 아니었어요. 1,2차 예송에서 서인 측이 끊임없이 언급했던 부분이 "효종은 적장자가 아니다"였으니, 이는 현종의 왕권 문제와도 직결되는 중대사안이었죠.

그리고 예송논쟁이 쓸데없는 논쟁이라 하기엔 전근대 왕조 시대는 동서고금 막론하고 국왕의 정통성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었습니다. 비슷한 시기 유럽에서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이 벌어진 것만 봐도 그렇죠.(모든 유럽국가들이 이 전쟁이 휘말렸고, 식민지까지 동원된 대전쟁) 그에 비하면 예송논쟁은 내전으로 안 번지고 비교적 온건하고 평화로운 해결이 났으니 오히려 다행인 겁니다. 예송논쟁으로 실각한 사람은 있어도 죽은 사람이 없는 것도 대단한 거... 숙종대의 4대 환국이 더 병림픽이고 후대에 대한 악영향이 더 컸으면 컸지, 예송논쟁은 여기 끼기엔 좀 억울한 측면도 있어요.


14
Comments
2
Updated at 2020-05-23 23:56:07

저도 공감합니다.

서인은 장례복제를 통해서 선왕인 효종을 차남으로 대우했고 이는 임금이라 해도

예법에 있어 사대부와 다를바 없다는 선언이었죠.

사대부에 대한 왕권의 우위를 부정했던거죠.

 

또한 효종과 현종으로 이어지는 왕통의 정통성 문제이기도 했고요.

 

이는 왕조국가에서 대단히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고 충분히 논쟁이 필요했던 주

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2차 예송의 경우 현종과 서인 대신들의 논쟁은 대단히 박진감있게 전개되죠.

상황에 따라서는 서인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으로 이어질수 있었겠지만 현종의 급서

로 흐름이 좀 끊기긴 하죠.

 

그저 무의미한 뜬구름 잡는 논란정도로 치부할수 없는 중요한 정치사적 의미를 가지

는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WR
3
Updated at 2020-05-24 00:03:04

심지어 1,2차 예송기간 다 합쳐도 1년이 채 안돼죠. 당시 지배층이 예법 문제만 신경쓰느라 나라살림은 버려놨다고 까기도 뭐함... 게다가 2차 예송 승자는 노비제 해체와 자영농 육성 등의 담론을 갖고있던 남인세력...

2
2020-05-24 00:00:07

물론입니다.

논쟁 기간에도 거기에만 국력이 소진된것은 전혀 아니었고 다른 국정은 그것대로

다 잘 굴러갔습니다.

 

일종의 프레임짜기로 많이 곡해된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봅니다.

2020-05-24 11:42:35

엇...이건 또 몰랐던 얘기네요.

실제 기간이 그렇게 짧았던 거군요.

Updated at 2020-05-24 00:18:13

기득권들이 민생과 상관없는 쓰잘데기 없는 데 열심인 건 동양이나 서양이나 마친가지인거군요.

WR
3
2020-05-24 00:20:43

민생과 상관없는 쓰잘데없는 짓은 절대 아니죠. 당시 국왕의 정통성 문제는 국가의 존립 문제와도 직결되니까요. 예송논쟁은 유럽으로 따지면 왕권신수설 vs 사회계약설 같은 거였습니다. 결코 가벼운 사안이 아니에요. 예송에서 죽어나간 세력이 없다는 게 오히려 이상한 겁니다.

1
2020-05-24 09:21:37

500년 후에 사람들 기준으로 지금 민주주의와 선거제도에 대해 이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르죠. 심지어 그걸 목숨 걸고 쟁취하려고 하거나 투쟁하는 것도요.

2020-05-24 00:36:07

싸움나면 갓본처럼 대놓고 칼질하는 걸 칭송하는 사람들이 많죠. 예송논쟁 이런 다툼이야말로 죽은 사람 없이 상호존중하며 젠틀한 거죠.

3
2020-05-24 00:55:54

경신대기근중에 그런게 참...

3
Updated at 2020-05-24 01:57:53

경신대기근은 경술년(1670, 현종 11년)과 신해년(1671, 현종 12년)에 걸쳐 일어난

기근입니다. 경술년의 '경'자와 신해년의 '신'자를 합쳐 경신대기근이라 부릅니다.

 

예송논쟁의 경우 

기해년(1659, 현종 즉위년)의 1차 예송과 갑인년(1674, 현종 15년)의 2차 예송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예송논쟁이 경신대기근 중에 있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2020-05-24 03:11:06

 오, 예송논쟁을 기간이나 정통성관점에서 이렇게 들으니까 또 색다르네요. 역시 많이 듣고 읽는게 중요합니다.

5
2020-05-24 09:15:57

예송논쟁은 서양의 살벌한 전쟁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닙니다.

동로마제국은 성상파괴 여부를 가지고 몇백년 동안 내전에 가까운 살륙전을 벌였지요.
또 종교전쟁은 같은 신을 모시면서도 수백년간 다국간 전쟁과 학살을 거듭했고요.

영국이 파벌간 정쟁을 일으킨 건 민주적 정당정치이고 조선에서 파벌 정쟁하면 망국적인 당파싸움이라고 보는 시각은 식민사관적 사고라고 봅니다,

2020-05-24 11:52:16

생각해보니 예송 논쟁에서 다룬 왕권vs. 신권 문제와 국왕의 적통성 문제는, 우리가 지금 일상적으로 다루는 민주적 절차라던지 국민의 뜻과 같은 수준의 문제였던거네요. 물론 사대부 말고 다른 계층에서도 그 당시에 그렇게 받아들이진 않았겠지만, 그건 진짜 시대적 특성이라고 봐야할테니까요.

저부터도 예송논쟁을 왜 했는지는 알고 있었지만 문자 그대로만 받아들었는데, 막연히 지들끼리 힘싸움한거다 수준의 문제가 아니었군요. 이렇게 또 하나 배웁니다. ^^

2020-05-24 14:07:00

자랑스러운 역사라고 하긴 그렇지만 그렇다고 까기만 하는건 식민사관 사학자들 아닐까요?

 
글쓰기
SERVER HEALTH CHECK: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