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HEALTH CHECK: OK
자동
ID/PW 찾기 회원가입

[영게]  정성일 평론가의 <부산행> 평가는?

 
7
  2813
Updated at 2020-07-23 23:48:29

 

 

 

 

연상호 감독의 <부산행 (2016)>이 개봉하고 나서 관객수 1000만명을 넘어설 당시 정성일 평론가의 

<부산행>에 대한 평가글을 소개합니다.

 


 


스포 有

 

 

 

개봉 후 10개월, 1152만명 선택" 정성일 평론가가 던진 '질문들'

(링크 https://entertain.v.daum.net/v/20170427080100848)

 

Train to Busan (2016)

<부산행>

 

감독/각본 

연상호  

 

 

 

 좀비전쟁, 수안의 꿈이었다면?

 

정성일 평론가는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이 자리는 특별한 자리가 될 것 같다. 

특별한 까닭은 영화가 개봉한지 10달 가까운 시간이 지났다. 

이제는 우리가 이 영화에 대한 해설이나 비평 대신 

질문을 해 볼 시간적인 거리를 확보하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는 영화에서 영화를 보고 난 다음 그 영화에서 어떤 대답을 찾는 대신 

좋은 질문을

던지는 쪽이 훨씬 중요하다고 믿는 비평가다" 


정성일 평론가는 

"오늘 내 질문은 연상호 감독에게 향한 것이 아니라 '부산행'이라는 영화에 반응한 대중들, 

이 영화를 본 관객들을 향해 하는 질문이다. 

그리고 그 쪽이 훨씬 더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며 "'부산행'은 1156만 5802명이 보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 숫자에 대해 약간 둔감해졌을 수 있다.

대선이 가까워지니까 비교하자면 이명박 대통령은 1149만 2389명의 표를 받고 대통령이 됐다.

이명박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숫자보다 '부산행'을 더 많이 봤다"고 설명했다.

 

 

'부산행'은 애니메이션 '서울역'과 전 후편을 이루는 영화다. 

일반적 관례에 따르면 전편이 개봉하고 후편이 개봉하는데 '부산행'은 그 반대로 후편인 '부산행'이 

먼저 개봉하고 전편인 '서울역'이 개봉했다. 

정성일 평론가는 "'부산행' 대성공 이후 '서울역'이 개봉했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서울역을 본 관객 수는 14만 72명이다. 

부산행을 본 관객의 1%만 봤다.

 99%는 그 영화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부산행이 개봉되는 동안에는 아무도 이 사실을 이야기 하지 않았지만 '부산행'은 명백하게 

박근혜 전 대통령 정부 시대의 마지막 1000만 영화다. 

당시 국민이 택한 마지막 뜻이다. 

한 자리에 모여 이들이 촛불을 들기 전까지, 격노를 우회한 하나의 대답이다" 고 덧붙였다.


정성일 평론가는 '부산행'을 가득 채우는 것은 '자포자기'라고 말했다.

 분노의 감정 없이 오로지 자포자기의 감정만 있다고. 

도피의 반복이고, 도피의 이어 달리기이며, 인물이 바뀌면서 그것이 끝없이 반복된다고 전했다. 

그래서 '부산행'은 코미디 장르라는 것. 

 정성일 평론가는 "누가 ''부산행'은 무슨 장르인가요?' 라고 묻는다면 

'코미디입니다. 

웃자고 찍은 영화입니다'라고 말할 것이다. 

공포영화로 찍었다면 견딜 수 없었을 것이다"고 단언했다.


다른 질문은 역시 '좀비'. 

하지만 '부산행'은 여느 좀비 영화들처럼 '좀비는 무엇을 상징하나요?'가 아닌

 '좀비는 누구인가요?'라는 질문을 가능하게 만드는 작품이라는 설명이다. 

해답은 '우리'다. 

 

기차에 함께 올라 탄 사람들을 '우리'라고 말할 수 있다. 

공동 운명체다. 그 우리가 좀비가 돼 가는 영화가 바로 '부산행'이다. 

이에 대해 정성일 평론가는 "'부산행'은 뺄셈의 영화다"라고도 표현했다. 

살아있는 사람의 숫자를 계속 줄여나가는 과정이라고. 

공식의 과정은 우리라고 믿었던 우리가 적이 돼 간다는 것이다. 

이는 헬조선의 법칙이기도 하다.

 

 

공유·마동석·김의성의 관계, 2인1조 커플

 

 

정성일 평론가는 "디테일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몇 개를 건드리겠다"며 

"'부산행'의 첫 시작은 방역이다.

트럭을 몰고 지나가는 남자는 방역 처리를 하고 있는 이의 말에 본능적으로 불신을 표한다. 

이 불신은 공무원에 대한 불신이다. 

국가기관에 대한 불신이라고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영화는 국가기관과 권력에 대한 불신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트럭은 고라니를 치고 지나간다.

 좀비 고라니다. 

고라니는 크게 자연으로 볼 수 있고 '부산행'은 대한민국을 덮친 좀비의 출발점이 

자연의 복수라는 것처럼 장면을 이룬다. 

공무원에 대한 불신, 자연의 복수.

 '부산행'은 4대강을 어떻게든 건드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KTX에 올라 탄 후에는 공유와 마동석이 한 팀을 이루고 악당 김의성과 선악대립 구조처럼 이뤄져 있다는 것을 영화 내내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정성일 평론가는 여기에 '아버지'의 관점을 넣었고, 

공유는 화이트칼라에 소프트바디, 

마동석은 블루칼라에 하드바디로 분석했다. 

 정성일 평론가는 "공유는 남편 노릇은 실패했지만 아버지 노릇에는 성공하고 싶어서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마동석은 아버지 노릇을 통해서 성공적인 남편이 되려고 애를 쓴다. 

하지만 이 영화에 없는 것은 어머니의 자리이고, 영화 속 아버지들은 전멸한다.

더 나아가 요즘 말로 '한남'이 전멸한다.

야구부·군인 등 남성성을 대표하는 집단은 한꺼번에 좀비화 된다"고 꼬집었다.


아버지가 있다면 아들의 관점도 있다.

이 땐 공유와 김의성이 함께 묶인다.

정성일 평론가는 "손쉽게 선과 악으로 양분 시키는데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공유와 김의성은 아주 가까이 있다.

두 사람 모두 화이트 칼라다.

또 공유는 집에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우리는 김의성이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부산에 내려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공유는 대전역에서 수안에게 지적 받는다. 

수안은 '아빠는 아빠 생각만 하잖아요. 그래서 엄마와 헤어졌잖아요'라고 말한다.

 '너 공부 안하면 저 아저씨처럼 된다'는 김의성에게는 '우리 엄마가 그렇게 말하는 사람 나쁜 사람이랬어요'라고 한다. 

수안은 공유에게도, 김의성에게도 똑같은 말을 한다. 

수안의 눈에 두 인물은 같은 사람인 것이다.

공유는 소프트한 김의성이고, 김의성은 하드한 공유라고 말할 수 있다. 

사실상 같은 인물의 더블링이다"고 분석했다.


정성일 평론가는 개인 뿐만 아니라 커플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부산행' 등장 인물은 기이할 정도로 어떤 형식으로든 커플을 이루고 있는 것. 

공유는 딸 수안과 2인1조. 

마동석은 아내 정유미, 뱃속 아이와 3인1조. 

안소희는 남자친구 최우식과 2인1조. 

할머니 자매도 2인1조다. 

 


혼자는 김의성 뿐이다. 

그리고 그는 유일한 악당이다. 

정성일 평론가는 "커플을 이루지 못했을 때 사악해진다는 전제가 있다. 

'이들은 이기적이 될거야, 누구를 위해 희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기만 생각하게 될거야' 

라는 것을 전제로 깔고 있다" 며 "'영웅적 행위로 자기 희생을 할 것이냐, 

카타르시스로 동반 자살할 것이냐'에 대한 질문도 던진다. 

희생이라는 문제에 대해 어떤 태도를 담고 있다"고 파악했다.

 

 

세월호, 수안의 꿈, 그리고… '위험한 가설들'


"조금 더 노골적이고 위험한 질문들, 가설들을 세워보겠다"고 작정한 정성일 평론가는

 "이 영화에 등장하는 10대 소년· 소녀들은 다 죽었다. 

많은 사람들이 잊어버리 사실 중 하나가 연상호 감독은 "'부산행'은 세월호에 관한 추모를 담고 있습니다"라고 이야기 했다. 

10대 아이들의 전멸에 대해 느껴야 될 죄책감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다.

 그걸 이 사회는 그냥 즐겼다.

 '왜 노골적으로 세월호라 표현하지 않았냐'고 묻는다면 그건 바보같은 반문이다. 

극중 10대 소년·소녀 중 부모와 통화하는 아이들은 한 명도 없다. 

모든 것이 두절된 상태로 그렇게 다 전멸했다."고 읊조렸다.


이와 함께 정성일 평론가는

 "'왜 공유 수안으로 부산행의 이야기를 끌고 가도록 선택했을까?'라고 질문해 볼 수도 있다. 

특이한 점 중 하나는 살아남은 사람들 사이에 리더가 없다. 

주인공이 영웅이 되는 과정이 좀비 영화의 특징이다. 

하지만 '부산행'에는 영웅 서사가 없다. 

무엇보다 살아남은 수안은 영웅이 되기에 너무 어리다"며 "여기에서 위험한 가설을 제공하고 싶다.

 '부산행'에서 좀비를 맨 처음에 보는 사람이 있다.

 수안이다. 

열차를 타고 가면서 창문으로 누군가 확 덮치는 순간을 본다. 

아버지는 자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은 수안의 클로즈업으로 끝난다. 

수안으로 시작해 수안으로 끝난다. 

이 모든 이야기가 수안의 상상이라면 어쩌겠냐. 

이 어린 아이가 '다 죽어버렸으면 좋겠어, 어른들? 다 죽어버렸으면 좋겠어'라고 생각하는 

전멸의 상상에 관한 이야기라면? 

 

 Neon Genesis EVANGELION

  <新世紀 エヴァンゲリオン ,신세기 에반게리온>

 

20년 전 바로 옆 나라에서 '에반게리온'이라는 영화가 만들어졌다. 

난 그 상상력이 지금 '부산행'에 도착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성일 평론가는 막바기 '가장 위험한 가설' 하나를 던졌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영화인데 승객들 중 아무도 부산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디테일하게 들여다 봤다. 

정성일 평론가는 "'부산행'에는 로컬리티가 없다. 

도시1에서 도시2로 이동하는 영화로 보인다. 

도시1은 좀비들이 창궐한 도시, 도시2는 깨끗한 도시다. 

도시1은 자본으로 타락한 도시, 도시2는 군대가 장악해 깨끗한 도시다. 

도시1에서 도시2로 이행하고 싶은 욕망이 담겨 있다면 어쩌겠냐. 

자본주의에 타락한 국가보다 그 전…. 자본가들에게 모든 것을 허락했던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시기 

1000만 영화라는 것을 환기 시켜주시길 바란다"고 재차 언급했다.


정성일 평론가는 "난 이 모든 것을 연상호 감독이 개설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어쩌면 단 하나도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정말 생각한 것은 1000만이 들기 위해 대중들이 원하는 이야기를 써 내려간 과정이었을 것이다. 

그것을 1000만 명이 읽어낸 것이라 생각한다"며 "박근혜 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대통령을 기다리면서 

'부산행'이라는 이 영화의 무언가 해석을 봉쇄시킨, 밑바닥에 있는, 

대중들이 반응했었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해 여러 분들의 지성으로 질문해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싶다. 

그 시작의 순간을 맞이하고 싶다"고 마무리 지었다

 



7
Comments
2020-07-23 23:35:23

잘봤습니다. 원본도 읽고 싶어지네요 

WR
2
2020-07-23 23:47:57

정성일 평론가의 당시 관련기사 링크입니다. (본문에도 함께 수정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entertain.v.daum.net/v/20170427080100848

 

2020-07-23 23:48:50

감사합니다

2020-07-24 01:50:54

좋네요. 꿈보다 해몽이라고는 하지만 결론에 그얘기도 써놨네요

2
2020-07-24 06:32:26

제가 볼때도 꿈보다 해몽이네요.... 부산행은  제가 볼때는 잘만든 좀비영화이긴 하지만  기차라는 공간한정을

제외하고는 여러 좀비영화의 따온 많은 장면을 잘 버무린 영화

1
2020-07-24 08:11:51

너무 나간 해석 같습니다. 그냥 어쩌다 얻어걸린 작품인듯 합니다만.. 연감독 이후 행보를 보니. 그렇다고 부산행이 졸작이란 얘기는 아닙니나. 충분히 잘 만든 작품입니다.

2020-07-24 09:15:04

후속작들을 보면 꿈보다 해몽같지만 이런 시각으로도 해석 가능하다는게 흥미로운 분석이네요

부산행 전작들을 보면 사회비판적 코드로 안 읽히는게 더 신기하긴 하니... 

 
글쓰기
SERVER HEALTH CHECK: OK